빅데이터분석기사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빅데이터 기술 및 제도 출제예상문제 오답노트

Jia H 2025. 2. 22. 00:46

[틀린 문제]

 

24.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인정보 보호 원칙은 OECD의 프라이버시 8원칙을 참고하여 반영하고 있다. 다음 중 OECD 8원칙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수집제한의 원칙 -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며 익명처리의 원칙에 해당한다.
② 목적명확화의 원칙 - 목적 범위 내에서 적법하게 처리, 목적 외 활용을 금지한다.
③ 처리방침 공개 원칙 -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을 공개한다.
④ 책임의 원칙 - 개인정보처리자의 책임 준수, 신뢰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목적명확화: 개인정보의"처리 목적"을 명확화하는 것

 

 

34. 가명처리 대상 정보에 대한 위험도 측정은 어느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가?

① 1단계: 사전준비
② 2단계: 가명처리
③ 3단계: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④ 4단계: 활용 및 사후관리

✅ 가명처리 단계에서 위험도 측정 및 추가적인 조치를 진행한다.

 

 

35. 다음 중 가명처리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가명처리 대상 선정 시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처리한다.
② 가명정보 DB와 물리적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별도의 DB에 보관이 가능하다.
③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 간 다른 정보와 결합되어 정보주체의 정보를 알아볼 수 있더라도 가명처리한 정보는 사용 가능하다.
④ 검토 및 추가처리 단계에서는 가명처리수준정의표를 작성한다.

✅  1) 최소 항목 처리

 

 

36. 다음 중 가명처리 절차에서 단계간 반복이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고르시오.

① 가명처리 → 사후관리
② 사전준비 → 가명처리
③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 사후관리
④ 가명처리 →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  적정성 검토 후 부족하면 단계 반복 or 부분적 추가 가명처리

 

 

 

 

[헷갈린 문제]

09. 수집 및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처리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처리를 지원하는 컴퓨팅 기술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분산 컴퓨팅 - 단일 시스템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여러 장치를 분산하여 처리하는 컴퓨팅 환경
② 병렬 컴퓨팅 - 여러 개의 복잡한 연산을 순차적이 아닌 병렬적으로 동시 처리하는 컴퓨팅 환경
③ 앰비언트 컴퓨팅 - 여러 병렬 컴퓨터의 처리 성능을 집중하여 매우 복잡한 문제 또는 데이터 집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컴퓨팅 환경
④ 클라우드 컴퓨팅 - 서버,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등의 IT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 대여하여 사용하게 해주는 컴퓨팅 환경

✅  (Ambient)앰비언트 컴퓨팅은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이미 주변 환경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컴퓨팅

 

 

11. 빅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스파크 - 하둡 기반 대규모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 멀티듀스 작업에서 성능이 병목현상으로 저하되면 디스크 I/O 병목을 효율화하고 메모리 컴퓨팅으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한다.
② 주키퍼 - 기업 내 시스템과 외부 플랫폼을 위해 개발된 하둡과 달리,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개발된 분산 처리 기반 신뢰 시스템을 제공한다.
 우지 - 하둡 작업 과정을 관리(워크플로우)하는 코디네이터 시스템으로 HiveQL을 사용해 데이터 조회 질의를 수행할 수 있다.
 람다 아키텍처 -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배치(Batch)로 미리 만든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과 스트리밍 처리에 사용 가능한 실시간 분석을 지원하는 빅데이터 아키텍처이다.

✅  주키퍼:  분산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술

 

 

12.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정의된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통계 및 컴퓨터공학 분야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다음 중 분석, 시각화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②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③ 크롤링(Crawling)
④ 머하웃(Mahout)

✅  머하웃: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한 프로젝트로서 분산 처리가 가능하고 확장성을 가진 기계학습용 라이브러리

 

 

15. 머신러닝의 유형과 알고리즘의 관계로 묶지 않은 것은?

① 지도학습 : 선형회귀분석, 랜덤포레스트
② 비지도학습 : K-Means, 로지스틱회귀
③ 지도학습 : 서포트벡터머신, 인공신경망
④ 비지도학습 : 다차원척도법, 주성분분석(PCA)

✅  로지스틱회귀 - 지도학습

 

18. 머신러닝의 지도, 비지도학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지도학습은 모든 입력 데이터에 대해 정확한 답(Label)을 가지고 모델을 학습하는 방법이다.
② 비지도학습의 종류는 군집화와 예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③ 지도학습으로 스팸필터링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④ 비지도학습은 정확한 답(Label)이 없으며 학습 데이터만 입력하여 모델 스스로 진입 패턴 자체를 기억하거나, 유사패턴을 군집화하는 학습방법이다.

✅  지도: 분류/예측, 비지도: 군집화/차원축소/연관규칙발견

 

 

28.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2 강에는 가명정보의 처리에 대한 내용이 정의되어 있다. 가명정보의 처리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업적 목적의 통계 작성
② 특정 개인에 대한 1대1 맞춤형 타겟 마케팅
③ 신사업 개발을 위한 민간 사업 연구
④ 민간 기업의 공익적 기록 보존

✅  가명정보는 특정 개인에 대한 정보가 아니니까

 

 

29.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처리자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 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음반을 판매하는 회사가 고객을 받아 동의를 받아 정기적으로 카탈로그를 보내오다가 오디오테이프, CD, DVD 형태의 음악 카탈로그도 보내는 경우
② 약국에서 다른 고객의 의약품을 잘못 가져간 경우 약국이 위 사실을 알리기 위해 처방병원에 휴대폰번호를 제공받아 전화하는 경우
③ 병원 진료시 수집한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추가적인 질병 여부 파악을 위해 연계된 병원에 문의하여 병력 조회를 하는 경우
④ 홈쇼핑 고객에게 동의를 받아 매월 DM 발송을 통해 상품 안내를 진행하였으나 할인쿠폰이 추가 발급되어 DM과 함께 발송하는 경우

✅  민감정보(병원기록)와 고유식별 정보는 예외

 

 

30. 개인정보처리자는 가명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다음 중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사항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가.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의 분리 보관
나. 추가 정보가 불필요한 경우 즉시 파기
다.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의 접근 권한 분리
라. 소상공인은 접근 권한 분리가 어려운 경우 접근 권한의 통제 강화
마. 가명정보처리에 관한 기록을 작성하여 보관

① 가, 나
② 가, 나, 마
③ 다, 라, 마
④ 모두

 

 

37. 마이데이터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2020년 1월 이른바 ‘데이터 3법’이라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이 국회에서 통과했다.
② 개인의 동의 하에 타기업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받아 활용할 수 있는 사업자를 선정하고, 그 사업자는 종전의 금융기관, 카드사 등 독점화된 개인정보를 개인의 동의 하에 자신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③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체계를 일원화하여 금융, 유통, 통신 등 이종 산업권별 마이데이터 산업을 실핏줄로 연결하고 통합 거버넌스 확립이 가능해졌다.
④ 개인은 흩어져 있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통합해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개인정보보호법이 이렇게까지 뭘 할 수 있을리가 없잖슴? 각 부처가 협력하는 부분이올시다.

 

 

[전체 문제]

(오류점검을 하지 않은 전체 문제set)

 

01. 데이터는 수집부터 분석, 시각화 등을 거치는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처리된다. 다음 중 빅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표현 → 데이터 활용
②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표현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활용
③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활용 → 데이터 표현
④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표현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활용

 

02. 빅데이터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 수집: 각종 데이터 수집을 시행하며, 데이터는 정형, 반정형, 비정형으로 정의되는 단계이다.
② 데이터 저장: 내부외부 데이터의 통합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③ 데이터 처리: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변환하는 과정에서 정보로 도출하는 단계이다.
④ 데이터 시작: 분석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언제든지 외부 연계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이다.

 

03. 분석 결과를 시각화함으로써 데이터와 연계된 의미와 해석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 중 데이터 시각화 기술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Python
② R
③ NoSQL
④ SPSS

 

04. 하둡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의 분산 분석을 지원하는 플랫폼 ETL과 Low-Latency 지원, Long Term Query 및 AD Hoc Query 지원하는 프로젝트는?
① Tajo
② Pig
③ Oozie
④ Spark

 

05. 빅데이터의 플랫폼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빅데이터 플랫폼이란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사용자와 서비스를 이어주는 매개체이다.
② 방대하고 복잡한 빅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기존 ETL과 DW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이 개발됐다.
③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분석,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라이프 사이클 전체를 규격화할 수 있다.
④ 빅데이터 플랫폼은 단독 애플리케이션보다 단독 시스템에 종속적인 프레임워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06.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는 내부외부 여러 환경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적절히 수집해야 한다. 다음 중 수집 기술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오픈 API
② R
③ Crawling
④ ETL


07. 다음에서 설명하는 수집 기술은 무엇인가?
대규모 분산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오픈소스 데이터 로그 수집 시스템으로 하둡에 의존적이며 실시간 분석이 특징이다.
① EAI
② ETL
③ Sqoop
④ Chukwa

 

08.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유형을 고려하여 데이터 저장 방식을 선정한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빅데이터 저장 기술은 무엇인가?
비관계형 데이터 저장소로,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다르게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이다.
테이블 스키마(Table Schema)가 고정되지 않으며, 테이블 간 조인(Join)이 연산을 지원하지 않으며, 수평적 확장성(Horizontal Scalability)이 용이하다.
※ 종류: Key-Value, Document Key-Value, Column 기반 등
① DBMS
② NoSQL
③ ODBMS
④ OODBS

 

09. 수집 및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처리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처리를 지원하는 컴퓨팅 기술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분산 컴퓨팅 - 단일 시스템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여러 장치를 분산하여 처리하는 컴퓨팅 환경
② 병렬 컴퓨팅 - 여러 개의 복잡한 연산을 순차적이 아닌 병렬적으로 동시 처리하는 컴퓨팅 환경
③ 벡터화 컴퓨팅 - 여러 벡터 범위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
④ 클라우드 컴퓨팅 -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등의 IT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환경

 

10. 하둡의 대표적인 데이터 처리 기술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각 종류별로 모아, 필터링(Filtering), 정렬(Sorting)하여 각각의 개수를 뽑아내는 분산 처리 기술 프레임워크는 무엇인가?
① 얀(Yarn)
② 맵리듀스(Map Reduce)
③ 스파크(Spark)
④ 우지(Oozie)

 

11. 빅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스캔 - 하둡 기반 대규모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 멀티듀스 작업에서 성능이 병목현상으로 저하되면 디스크 I/O 병목을 효율화하고 메모리 컴퓨팅으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한다.
우지 - 기업 내 시스템과 외부 플랫폼을 위해 개발된 하둡과 달리,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개발된 분산 처리 기반 신뢰 시스템을 제공한다.
우지 - 하둡 작업 과정을 관리(워크플로우)하는 코디네이터 시스템으로 HiveQL을 사용해 데이터 조회 질의를 수행할 수 있다.
람다 아키텍처 -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해, 배치(Batch)로 미리 만든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과 스트리밍 처리에 사용 가능한 실시간 분석을 지원하는 빅데이터 아키텍처이다.

 

12.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정의된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통계 및 컴퓨터공학 분야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다음 중 분석, 시각화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②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③ 크롤링(Crawling)
④ 마하웃(Mahout)

 

13.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다음 중 무엇인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을 지원하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다. 풍부한 라이브러리(모듈) 제공, 순수한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 외에도 쓰였던 모듈들을 연결하는 풀어(GIue Language)로 자주 이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numpy, scipy, sklearn, pandas, matplot 등 라이브러리를 호환한다."

① R
② Python
③ SAS
④ Semantic

 

14. 다음 중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는 1956년 ‘다트머스 회의’로 알려져 있는 모임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② 인공지능은 기계가 지능을 가지고 스스로 학습하고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인공지능을 지능적인 개념을 처리할 수 있는 특유의 ‘생각하는 기계’를 구체화하고 논리와 형식을 갖춘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방향을 논하는 학설이다.
④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속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념만을 가진다.

 

15. 머신러닝의 유형과 알고리즘의 관계로 묶지 않은 것은?

① 지도학습 : 선형회귀분석, 랜덤포레스트
② 비지도학습 : K-Means, 주성분분석
③ 강화학습 : 소프트보더메타러닝, 인공지능망
④ 비지도학습 : 다차원축소법, 주성분분석(PCA)

 

16. 다음 중 인공지능의 부각 이유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빅데이터
②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딥러닝 등)
③ 컴퓨팅 환경 진화(클라우드, GPU 등)
④ 개발 논의의 증가

 

17. 다음 중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인공지능 - 컴퓨터가 인간의 지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머신러닝 - 데이터에서 프로그램이 별도의 규칙 없이 컴퓨터가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연구 분야
딥러닝 - 머신러닝의 하위 개념이며 지도학습, 능동적인 비지도학습이 결합되어 컴퓨터가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머신러닝 - 기술적으로 인간의 사고방식과 더 유사한 기술

 

18. 머신러닝의 지도, 비지도학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지도학습은 모든 입력 데이터에 대해 정확한 답(Label)을 가지고 모델을 학습하는 방법이다.
② 비지도학습의 종류는 군집화와 연속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③ 비지도학습으로 쇼핑몰패턴이용자를 구분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④ 비지도학습은 정답을 갖지 않고, 입력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 자체를 기억하거나, 유사패턴을 학습하는 학습방법이다.

 

19. 전통적 머신러닝과 비교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의 특징으로 묶지 않은 것은?

① 빅데이터를 포함한 방대한 훈련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②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여 모델에 최적화하는 단계가 정밀해졌다.
③ GPU 및 클라우드 환경이 적용되어 연산속도가 빨라졌다.
④ 사람의 개입이 더 늘어났다.

 

20. 심층신경망 분석 기법 중, 분류 모델과 회귀 모델은 어떤 분석 방법에 속하는가?

① 비지도학습
② 지도학습
③ 강화학습
④ 준지도학습

 

2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언급된다. 다음 중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 대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

① 빅데이터는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원하는 형태로 처리하고, 인공지능은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해 인간이 고차원의 정보 처리 능력을 구현한다.
②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은 시너지 효과보다는 개별 플랫폼의 효과가 더 뛰어나다.
③ 빅데이터는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정제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인공지능 플랫폼은 분석/예측 능력을 지원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증가시킨다.
④ 빅데이터는 초연결성을 바탕으로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적극적 정책이 확대되고 있다.

 

22. 빅데이터 활성화 관련 법/제도에 관한 규제로 진입장벽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법/제도 개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신기술 활용의 서비스 육성과 활성화가 목적이다.
② 데이터의 편리성, 신뢰성, 신속성은 누구나 자유롭게 공유하여 경쟁력 공정한 시장경제 구축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③ 시장과 산업의 다양한 정보 수요에 대응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이다.
④ 안전한 개인정보 유출에 폐쇄적인 개별 정보 보호 중심의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

 

23. 빅데이터의 데이터 활용과 관련된 법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신용정보법 - 신용정보업 감독 및 신용심사 관련
② 전자서명법 - 전자서명 인증서 발급 규정으로 전자문서 확산
③ GDPR - 유럽연합 회원국별로 차등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 특별법
④ 지능정보화법 - 지능정보사회 정책 수립 및 지능정보사회 구현

 

24.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인정보 보호 원칙은 OECD의 프라이버시 8원칙을 참고하여 반영하고 있다. 다음 중 OECD 8원칙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수집제한의 원칙 -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며 익명처리의 원칙에 해당한다.
② 목적 명확화의 원칙 - 목적 범위 내에서 적법하게 처리, 목적 외 활용을 금지한다.
③ 개인정보 공개 원칙 - 개인정보처리 과정 등을 공개한다.
④ 책임의 원칙 - 개인정보처리자의 책임 준수, 시정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25. 어떤 사례에 대해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이 동시에 적용될 경우, 어느 법이 우선 적용되는지 고르시오.

① 개인정보보호법 단독 적용
② 정보통신망법 또는 신용정보법 중에서 해당하는 특별법 적용
③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 동시 적용
④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동시 적용

 

2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법의 정의는 다음 중 무엇인가?

추가 정보의 사용/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이며, (익) 처리를 위해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없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정보.

① 고유식별정보
② 가명정보
③ 익명정보
④ 민감정보

 

27.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은 경우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이 가능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수집 목적 범위 내에서만 이를 처리할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다음 중 동의 없이 처리 가능한 경우가 아닌 것은?

① 공공기관이 법률에 근거해 사무 수행을 위해 적극 휴대폰번호를 포함한 정보시스템에서 조회하여 주민 민원을 해결하는 경우
② 보험회사가 계약 체결을 위해 청약자의 자동차 사고 이력, 다른 유사 보험 가입 여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③ 회사가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임직원의 업무 처리 내역과 인터넷 접속 기록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④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하여 현장에 있는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부문의 휴대폰번호를 수집하는 경우

 

28.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2 강에는 가명정보의 처리에 대한 내용이 정의되어 있다. 가명정보의 처리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업적 목적의 통계 작성
② 신제품 개발을 위한 민간 산·학 연구
③ 신서비스 개발을 위한 민간 연구
④ 민간 기업의 공익적 기록 보존

 

29.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처리자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 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음반을 판매하는 회사가 고객을 받아 동의를 받아 정기적으로 카탈로그를 보내주어 오디오테이프, CD, DVD 형태의 음악 자료목록을 보내는 경우
② 약국에서 한 고객의 약값을 잘못 가져간 경우 약국이 위 사실을 알리기 위해 휴대폰번호를 제공받아 전화하는 경우
③ 병원 진료시 수집한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추가하여 질병 여부 파악을 위해 연계된 병원에 문의하여 병력 조회를 하는 경우
④ 홈쇼핑 고객에게 동의를 받아 매월 DM 발송을 통해 상품 안내를 진행하였으나 할인쿠폰이 추가 발급되어 DM과 함께 발송하는 경우

 

30. 개인정보처리자는 가명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다음 중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사항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가.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의 분리 보관
나. 추가 정보가 불필요한 경우 즉시 파기
다.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의 접근 권한 분리
라. 소상공인은 접근 권한 분리가 어려운 경우 접근 권한의 통제 강화
마. 가명정보처리에 관한 기록을 작성하여 보관

① 가, 나
② 가, 나, 마
③ 다, 라, 마
④ 모두

 

31. 다음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정보: 개인을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정보
② 가명정보: 추가 정보의 사용 없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게 조치한 정보
③ 식별자정보: 더 이상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된 정보
④ 익명정보: 더 이상 개인을 알아볼 수 없게 조치한 정보

 

32. 가명정보에 대해 동의 없이 활용 가능한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정보 파기
② 통계작성
③ 연구
④ 공익적 기록 보존

 

33. 다음 중 가명처리 절차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가명처리 대상 정보의 항목별 위험도 측정은 내부 활용과 제3자 제공 시 고려사항이 달라질 수 있다.
② 가명처리는 사전준비, 가명처리,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사후관리 순서로 이루어지며 적정성 검토 부적합한 경우 사전준비부터 재처리한다.
③ 가명처리 시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만을 가명처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가명처리 대상 정보와 분리하여야 한다.
④ 적정성 검토 및 추가 처리 단계에서 특정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34. 가명처리 대상 정보에 대한 위험도 측정은 어느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가?

① 1단계: 사전준비
② 2단계: 가명처리
③ 3단계: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④ 4단계: 활용 및 사후관리

 

35. 다음 중 가명처리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가명처리 대상 선정 시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처리한다.
② 가명정보 DB와 물리적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별도의 DB에 보관이 가능하다.
③ 가명정보와 추가 정보 간 다른 정보와 결합되어 정보주체의 정보를 알아볼 수 있더라도 가명처리한 정보는 사용 가능하다.
④ 검토 및 추가처리 단계에서는 가명처리수준정의표를 작성한다.

 

36. 다음 중 가명처리 절차에서 단계간 반복이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고르시오.

① 가명처리 → 사후관리
② 사전준비 → 가명처리
③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 사후관리
④ 가명처리 → 적정성 검토 및 추가처리

 

37. 마이데이터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2020년 1월 이른바 ‘데이터 3법’이라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이 국회에서 통과했다.
② 개인의 동의 하에 타기업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받아 활용할 수 있는 사업자를 선정하고, 그 사업자는 중소기업, 카드사 등 독점화된 개인정보를 개인의 동의 하에 자신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③ 개인정보보호법은 체계를 일원화하여 금융, 유통, 통신 등 이종 산업과 관련 마이데이터 산업을 십자로서 연결하였다.
④ 개인은 혼자서도 자신의 개인정보를 통합해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38.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정보주체인 개인이 ‘정보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에 근거하여 본인 데이터에 대한 개방을 요청하면,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개인(요청자 또는 개인이 지정한 제3자)에게 개방하도록 하는 것

① 마이데이터
② 개인정보보호법
③ 가명처리
④ 데이터 3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