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분석기사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추론통계 출제예상문제 오답노트

Jia H 2025. 3. 5. 17:47

[틀린 문제]

 

02. 추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모수를 고정된 값인 상수라고 가정하여 처리방식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다.
②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나름대로 세워 그 가설의 옳고 그름을 확률적으로 판정한다.
③ 표본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모수의 근사값을 결정하는 것이다.
④ 모집단에 대해 특정한 분포를 가정하지 않는 방법이며, 주로 이상값이 존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1번: 빈도론자 추정, 2번: 가설 검정, 4번: 비모수적 추론

 

06. 다음의 사례에 대한 모평균의 점추정량을 구할 때 빈칸에 가장 적절한 것은?

대학생들의 한 달 평균 용돈을 알기 위하여 500명의 대학생을 단순무작위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표본평균 x바 = 50만원이었다. 따라서 모집단의 모수 모평균은 50만 원일 것이라고 추정하는데, 이때 표본통계량(       )는 추정량이 되고, 계산된 구체적인 수치 (        )은 추정값이 된다.

① 


③ 
④ 

✅ 

 

13. A회사에서 생산하는 빵의 무게에 대한 산포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 회사의 제품 중 20개를 확률표본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표본분산이 S^2=5였다. 이 회사의 빵의 무게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모분산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라.

① 


②  (생략)
③ 
④ 

모분산의 신뢰구간 추정 (n-1)S^2 / X^2

 

 

14. A회사 아이스크림과 B회사 아이스크림 무게의 산포도를 비교하려고 한다. A회사 아이스크림 중 10개, B회사 아이스크림 중 8개를 임의로 추출하여 이들의 무게를 조사했다. A회사 아이스크림의 표본분산 0.25, B회사 아이스크림의 표본분산 0.49를 얻었다. 두 대상모집단이 정규모집단을 따른다고 할 때 두 모집단의 모분산 비에 대한 98%의 신뢰구간은 무엇인가? (상한 F통계량: 5.61, 하한 F통계량 1/6.72)

① (생략)
② 0.076 < 모분산비 < 2.862
③ (생략)
④ (생략)

두 모분산의 신뢰구간 추정 문제

 

 

17. 통계적 가설 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귀무가설이 현재 알려진 사실이기 떄문에 귀무가설을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기각할 것인지를 검정하는 과정 및 규칙이다.
② 항상 귀무가설을 중심으로 기각여부를 표현하고, 검정통계량, 기각역, 채택역을 이용해 이를 검정한다.
③ 기각역은 가설 검정에서 유의수준 α가 정해졌을 때 검정통계량 분포에서 이 유의수준을 제외하는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④ 검정통계량은 Z통계량, t통계량, 카이제곱통계량, F통계량의 확률분포상 x축 좌표 값이다.

3번: 채택역!! 기각역은 유의수준 영역

 

 

22. 유의확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① P값은 측정된 검정통계량의 값으로 계산된 확률로서 귀무가설 H0를 기각하게 하는 최저의 유의수준이다.
② 유의수준 α를 사전에 설정하여 산출된 검정통계량이 기각역에 의해 귀무가설 H0을 판단하는 경우, 제1종오류를 범할 위험의 최대값을 제한한다.
③ 일반적으로 P값이 0.01보다 작으면 대립가설 H1에 대한 신빙성이 떨어지고 귀무가설 H0에 대한 신빙성이 올라가서 대립가설 H1을 기각한다.
④ P값과 주어진 유의수준 α값을 비교하여 귀무가설 H0의 기각여부를 결정하며, P값이 주어진 α값보다 작으면 귀무가설 H0을 기각, α값보다 크면 귀무가설 H0을 기각하지 않는다.

 

 

24. 사람의 평균수명을 알아보기 위해 사망자 1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더니 평균 71.8년으로 나타났다. 모표준편차를 8.3년으로 가정할 떄, 현재의 평균수명은 70년보다 길다고 할 수 있는가를 검정할 떄 검정통계량과 기각여부를 맞게 연결한 것은? (유의수준 α = 0.05이며, 기각역은 Z ≥ z0.05 = 1.645

① 1.645, 기각
② 2.02, 기각
③ 1.645, 채택
④ 2.02, 채택

Z-검정통계량

 

[헷갈린 문제]

 

18. A회사의 제품의 무게는 320g이어야 한다. A회사의 제품의 무게가 실제 320g인지 검정할 때 알맞지 않은 것은?

(유의수준 0.05에 대한 통계량 1.96)

① 귀무가설 (H0) μ = 320g, 대립가설(H1) μ ≠ 320g
② 만약 산출한 Z통계량이 -1.96 < Z < 1.96이면 귀무가설을 기각(320g이다)하고, Z통계량이 Z < -1.96거나 Z > 1.96면 귀무가설을 채택(320g이 아니다)한다.

③ 자료로부터 H0에 반하는 충분한 증거가 얻어졌으면 H1을 채택한다.
④ 자료로부터 H0에 반하는 충분한 증거가 얻어지지 않았으면 H0을 채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