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린 문제]
13. 확률표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알 수 있다.
② 단순확률표본 추출 방법이 기본 전제이다.
③ 표본의 수가 증가할 수록 표본오차는 감소한다.
④ 신뢰수준이 높을 수록 표본오차는 감소한다.
✅ 신뢰수준이 높아지면 더 많은 경우를 포함하기 때문에 표본오차가 증가
✅ 표본 크기가 커지면 모집단의 특성을 더 정확히 반영할 수 있어서 표본오차 감소
35~38 계산문제는 4과목 모두 학습 후 한 번 더 복습하기
[헷갈린 문제]
31. 통계학은 표본을 통해 관심 대상인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학문이다. 모집단과 표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모집단은 관측 대상이 되는 전체 집단으로 조사의 대상이 되는 자료를 의미한다.
② 표본은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서, 실험자가 미지의 확률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부 측정값들이다.
③ 표준오차란 모집단의 표준편차로 표본 간의 변동성을 의미한다.
④ 표본오차란 표본으로 삼은 집단을 통해 추출해 낸 평균값이 실제 모집단의 평균과 차이나는 정도를 의미한다.
✅ 표준오차: 표본평균의 표준편차
'빅데이터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추론통계 출제예상문제 오답노트 (1) | 2025.03.05 |
---|---|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추론통계 (0) | 2025.03.05 |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술통계(3) (0) | 2025.03.04 |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술통계(2) (0) | 2025.03.03 |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술통계(1) (0) | 2025.03.02 |